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큐베이스 프로 꿀팁53

[큐베이스 꿀팁] 큐베이스 14부터 생긴 단축키로 쉽게 게인(Gain) 조절하는 방법 및 자동으로 파형을 선택해주는 Audio Segment Detection 기능 [큐베이스 꿑팁] 큐베이스 14부터 생긴 단축키로 쉽게 게인(Gain) 조절하는 방법 및 자동으로 파형을 선택해주는 Audio Segment Detection 기능 : 오래 전에 이벤트(리전)에 있는 오디오 파형 위에서 자유자재로 게인을 그려서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이미 영상으로 다룬 적이 있고, 바로 직전 영상에서는 큐베이스 14에서 그 기능들의 아쉬운 부분들이 개선된 내용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그런데 큐베이스 14버전부터 오디오 파형 바로 위에서 게인 조절하는 방법이 이것만 개선된 것이 아닙니다. 단축키를 사용해서 정말 빠르고 쉽게 게인 조절할 수 있는 방법도 추가되었고, Range Selection 툴을 사용해 물리적으로 이벤트 또는 오디오 파형을 자르지 않고도 게인을 조절할 수 있으며, 더구나 1.. 2025. 4. 3.
[큐베이스 꿑팁] 큐베이스 14부터 더 발전된, 오디오 파형 위에서 자유자재로 게인 그리는 방법 | 게인 스테이징 작업 및 숨소리, 치찰음, 팝핑 노이즈 쉽게 줄이기 [큐베이스 꿑팁] 큐베이스 14부터 더 발전된, 오디오 파형 위에서 자유자재로 게인 그리는 방법 | 게인 스테이징 작업 및 숨소리, 치찰음, 팝핑 노이즈 쉽게 줄이기 : 이전에 이벤트(리전)에 있는 오디오 파형 위에서 자유자재로 게인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이미 영상으로 다룬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큐베이스 14부터는 그 기능에서 조금 아쉬웠던 부분이 보완되어 더 사용하기 편해지고 여러 부분이 개선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보컬이나 악기 녹음 후 또는 오디오 샘플 등을 가져다 쓸 때 해당 이벤트(리전)의 전체를 통으로 게인 조절하며 쓰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이 기능을 사용하면 굳이 게인 조절을 위해서 이벤트(리전)를 자르지 않고 그 오디오 파형 위에서 바로 자유롭게 그릴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 13까지는 .. 2025. 3. 21.
[큐베이스 꿀팁] 이벤트(리전) 이름 변경하는 법 및 이벤트 이름 변경할 때의 주의점 | 큐베이스 13에서 추가된 방법 포함 | Rename Selected Events [큐베이스 꿀팁] 이벤트(리전) 이름 변경하는 법 및 이벤트 이름 변경할 때의 주의점 | 큐베이스 13에서 추가된 방법 포함 | Rename Selected Events : 큐베이스에서 이벤트(리전) 이름 변경하는 법은 원래도 그렇게 어려운 방법은 아닙니다만 큐베이스 13버전부터 더 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생겼습니다. 방법 자체가 워낙 쉽기 때문에 항상 이벤트 이름을 트랙에 맞추거나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무조건 이벤트의 이름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오디오 트랙의 이벤트 같은 경우에는 미디 트랙과 다르게 파일 이름이 아예 바뀌어 버릴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하고, 미디 트랙 같은 경우도 어떤 것을 복사해서 쓰는지 원본을 기억하고 체크하기 위.. 2024. 7. 27.
[큐베이스 꿀팁] 마커 트랙 위에서 바로 설명 및 메모 표기하는 방법 | 큐베이스 13부터 새로 생긴 기능 | Marker Track [큐베이스 꿀팁] 마커 트랙 위에서 바로 설명 및 메모 표기하는 방법 | 큐베이스 13부터 새로 생긴 기능 | Marker Track : 마커 트랙은 원래 영화 음악, 영상 음악 쪽에서 특정 장면이나 사운드의 인, 아웃 등을 마킹을 하기 위해 있는 기능이지만, 대중음악 쪽에서도 송폼 표기나 악기의 인, 아웃 등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고 저도 꼭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적극 추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마커 트랙에 설명 및 메모를 표기하려면 원래 마커 트랙 창을 열고 들어가서 그 창 안에서만 써넣어줘야 가능했는데 큐베이스 13 버전부터 마커 트랙 위에서 바로 설명 및 메모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생겼습니다. 너무 간단하고 쉬운 기능이라 굉장히 짧은 영상의 팁입니다. 큐베이스 13 버전 이상을 쓰는 .. 2024. 7. 19.
[큐베이스 꿀팁] 뒤죽박죽 된 큐베이스 프로젝트 폴더 및 파일 정리하는 법 | 효과적인 프로젝트 폴더 및 파일 관리 | Back up Project 기능 [큐베이스 꿀팁] 뒤죽박죽 된 큐베이스 프로젝트 폴더 및 파일 정리하는 법 | 효과적인 프로젝트 폴더 및 파일 관리 | Back up Project 기능  : 큐베이스는 처음 새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해당 작업을 어디에 저장하고 각종 파일들을 보관할 것인지 물어봅니다. 그런데 어떤 분들은 이 과정을 간과하고 폴더를 대충 아무 곳이나 지정하거나 파일명도 대충 지정해놓고 큐베이스 시작 작업을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저도 레슨을 진행하다보면 정말 많이 보는데요. (사실 어린 시절에는 저도 그랬습니다.) 그렇게 작업을 하다보면 폴더명 자체가 Untitled, 01, 02, ... 계속 붙어서 어떤 게 내가 작업하던 폴더인지 헷갈리거나 잃어버리는 분들도 있고, 또는 한 폴더 안에 여러 개의 작업 프로젝트 파일(.. 2024. 7. 4.
[큐베이스 꿀팁] 알고 계셨나요? 믹서창 Sends 단에서 Send 이펙터 창 쉽게 여는 방법 [큐베이스 꿀팁] 알고 계셨나요? 믹서창 Sends 단에서 Send 이펙터 창 쉽게 여는 방법 : 큐베이스 믹서창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Inserts 단의 이펙터들은 그냥 클릭으로 바로 이펙터 창이 열리니까 그때그때 쉽게 열어보고 수정이 가능한데, 반면에 Sends 단의 이펙터들은 Inserts 단처럼 그렇게 안 되어서 불편함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일일이 FX 트랙을 찾아가서 하나하나 열어주거나 아니면 오른쪽 클릭 후 'Edit Effect' 메뉴를 통해 여는 분들도 있는데요. 그보다 훨씬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너무 간단하고도 쉬운 팁이라 이미 알고 계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혹시 모르셨던 분들은 영상보시고 앞으로 믹서창 Sends 단의 이펙터 여는 불편함에서 완전 해방되시기 바랍니다. 안녕.. 2024. 6. 9.
[큐베이스 꿀팁] 이제는 버튼 하나로 모노/스테레오 트랙 전환을 간편하게! | 큐베이스 13부터 생긴 방법 알아두면 쓸모있는 큐베이스 프로 팁 #84 - 이제는 버튼 하나로 모노/스테레오 트랙 전환을 간편하게! | 큐베이스 13부터 생긴 방법 : 큐베이스에서 오디오 트랙 작업을 할 때 외부에서 녹음한 소스들이나 샘플 등의 오디오 파일을 불러들여 작업을 하다보면 때로는 모노/스테레오 트랙 전환을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전에 그 상황과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영상으로 자세하게 다룬 적이 있는데요. 그때 오디오 파일(이벤트)는 모노로 변환했는데 오디오 트랙은 그대로 스테레오인 경우, 반대로 오디오 파일(이벤트)는 스테레오로 변환했는데 오디오 트랙은 그대로 모노인 경우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그걸 다시 맞춰주기 위해서 새로 오디오 트랙을 생성해서 각각 넣어줘야 하는 그런 불편한 방법을 썼어야 .. 2024. 5. 22.
[큐베이스 꿀팁] 믹서창에서 이펙터 세팅 복사&붙여넣기 하는 법 총 정리 (Feat. 믹서창에서의 Undo) 알아두면 쓸모있는 큐베이스 프로 팁 #83 -  믹서창에서 이펙터 세팅 복사 & 붙여넣기 하는 법 총 정리 (Feat. 믹서창에서의 Undo) : 믹서창에서 여러가지 이펙터를 사용할 때 경우에 따라서는 어떤 트랙에 걸어놓은 이펙터 및 세팅을 간편하게 다른 트랙으로 복사 & 붙여넣기 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보컬, 기타 등의 더블링 트랙 작업 할 때나 아니면 드럼의 각 파츠, 스트링, 브라스 등 한 카테고리의 악기를 여러 트랙으로 나눠서 하는 작업 할 때 등인데요. 그럴 때 아주 간편하게 트랙에 걸어놓은 이펙터를 믹서창에서 총괄 관리하며 복사 & 붙여넣기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 믹서창에서 이펙터 세팅은 물론이고 볼륨, 팬, EQ 값까지도 복사 & 붙여넣기 할 수 있는 방법에.. 2024. 5. 13.
[큐베이스 꿀팁] 믹서창에서 마우스 스크롤로 나도 모르게 수치가 변경되는 실수를 방지하는 새로 생긴 설정 알아두면 쓸모있는 큐베이스 프로 팁 #82 - 믹서창에서 마우스 스크롤로 나도 모르게 수치가 변경되는 실수를 방지하는 새로 생긴 설정 :큐베이스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믹서창에서 여러 트랙을 체크해보려고 마우스 스크롤을 할 때 실수로 Sends, EQ, Pre 단을 건드려서 나도 모르게 수치가 바뀌어 있는 상황들 경험해보신 분들 계실 겁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자주 경험했던 일이고, (작업 한참 진행하다가 그런 부분 발견하면 짜증이 정말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많은 유저들이 제발 좀 믹서창에서 마우스 스크롤로 수치 변경하는 기능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설정 좀 만들어달라고 성화였는데요. 드디어 큐베이스 13에 생겼습니다. 그런데 아예 이 기능을 디폴트로 적용해 놓았기 때문에 혹시라도 마우스 스크롤로 수치 변경.. 2024. 4. 11.
[큐베이스 꿀팁] 새로 생긴 마우스 스크롤로 세로, 오디오 파형 Zoom In, Out 하는 방법 | 큐베이스 13부터 추가된 줌 인, 줌 아웃 기능 알아두면 쓸모있는 큐베이스 프로 팁 #81 - 새로 생긴 마우스 스크롤로 세로, 오디오 파형 Zoom In, Out 하는 방법 | 큐베이스 13부터 추가된 줌 인, 줌 아웃 기능 : 큐베이스 사용하면서 Zoom In, Out 할때 주로 G, H를 비롯한 단축키를 많이 활용할텐데요. 마우스 스크롤을 통해서 줌 인, 아웃을 하면 보다 빠른 줌 인, 아웃을 할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 12까지는 마우스 스크롤로 수평(가로) 줌 인, 아웃 기능밖에 없었는데, 큐베이스 13 부터는 그동안 단축키로만 있던, 수직(세로), 오디오 파형까지 마우스 스크롤로 줌 인, 아웃할 수 있게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굉장히 쉽고 간단한 내용이니 영상 참고하셔서 작업할 때 자주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로크뮤직 문정민입니다.. 2024. 4. 4.
[큐베이스 꿀팁] 믹서창에서 Low-Cut, High-Cut 작업 간편하게 하기 | 믹서창 Pre 단 활용 알아두면 쓸모있는 큐베이스 프로 팁 #80 - 믹서창에서 Low-Cut, High-Cut 간편하게 하기 | 믹서창 Pre 단 활용 : 큐베이스에는 각 트랙마다 Low-Cut, High-Cut, Gain, Phase 작업을 할 수 있는 Pre 단이 있습니다. 하지만 믹서창에서는 보통 이 Pre 단 숨겨져 있어서 이 기능이 기본 제공되는지 모르고, 외부 이펙터를 Inserts 에 불러와서 이런 로우컷, 작업을 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큐베이스 믹서창에서 자체 Pre 단을 활용하면 앞으로는 로우컷, 하이컷을 위한 이펙터를 따로 불러서 쓸 필요가 없습니다. 더구나 믹서창 화면에서 한번에 보면서 여러 트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니 훨씬 더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이 믹서창에서의 Pr.. 2024. 3. 20.
[큐베이스 꿀팁] 믹서창 간결하게 정리하는 방법 | Racks 설정 알아두면 쓸모있는 큐베이스 프로 팁 #79 - 믹서창 간결하게 정리하는 방법 | Racks 설정 : 큐베이스 믹서창은 믹싱 작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요. 믹서창에서 Routing, Insert, EQ, Strip, Send 등이 나열되어 있는 부분을 Rack(s) 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그 부분에서 큐베이스에서 자체 제공되는 EQ 나 (채널) 스트립 등은 잘 사용하지 않음에도 항상 그대로 노출되어 있고, 자주 사용하면 좋은 Pre 는 숨겨져 있는 것이 기본(디폴트) 설정이다보니 믹서창 화면이 때로는 정신없어 보이거나 불편해 보여, 활용성이 떨어질 때가 있습니다. 특히 화면이 작은 랩탑 환경에서는 더 그렇구요. 하지만, 믹서창의 그 Rack 항목을 필요한 것만 원하는.. 2024. 3. 15.
반응형